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21

유연성 + 힘이 필요한 체조 개요원만한 신체의 발달을 위한, 과학적이고 합리적인 신체활동. 운동을 시작할 때나, 체력을 단련할 때 부터 시작해 올림픽으로 정식 종목까지 있을 정도로 포괄적이고 넓은 의미의 운동으로, 육상과 수영이 가장 원초적인 스포츠라 한다면, 체조는 가장 기본적인 스포츠라고 할 수 있다. 체조가 무엇을 말하는 지도 꽤 불명확하다. 시대에 따라 정의가 수시로 달라져왔지만, 그만큼 체조가 운동에서 필수적임을 반증한다고 할 수 있겠다. 일반인 수준에서 건강하고 능률 좋은 몸을 원한다면 학교 체조 동아리 활동 수준까지도 바랄 것 없이 물구나무, 플란체, 머슬업, 플레어 한두 바퀴 하는 정도만 돼도 충분하다. 물론, 어디까지나 기본적인 스포츠라고 하지만 올림픽에 출전하는 선수들쯤 되면 어마어마해진다. 프로들의 체조를 보면 .. 2025. 3. 27.
높이뛰기 잘하시나요? 개요 높이뛰기(high jump)는 육상의 필드 경기로 4대 도약(뛰기) 종목 중 하나다. 출전 선수가 도움닫기를 통해 한 발로 솟구쳐서 특정한 높이의 가로대(바, bar)를 떨어뜨리지 않고 넘어야 한다. 대한민국이 그간 김희선, 이진택, 우상혁을 배출해 오면서 아시아는 물론 세계 수준에 이른 유일한 필드 종목이다. 한국에는 1920년대 초 일본을 통해 들어왔으며 1960년대까지는 일본에서 쓴 한자인 '주고도(走高跳)'로 불린 바 있다.방식근대 육상이 시작된 19세기 말부터 1968년까지는 다양한 자세로 가로대를 넘었다. 초기에 시도된 방식은 가위뛰기 방식(scissors jump), 웨스턴롤 방식(Western roll)을 거쳐 스트래들 방식(straddle jump)이 주류였다. 하지만 현재 거의 예.. 2025. 3. 26.
럭비 마무리 주요 대회럭비 유니언, 7인제 럭비, 럭비 리그로 나뉜다.럭비 유니언에는 국가 대항전, 클럽 대회로 나뉘고 럭비 월드컵, 식스 네이션스 챔피언십, 럭비 챔피언십, 퍼시픽 네이션스 컵, 브리시티&아이리시 라이언스 투어, 프리미어십 럭비, TOP 14, 유나이티드 럭비 챔피언십, 슈퍼 럭비 퍼시픽, 유러피언 럭비 챔피언스 컵, EPCR 챌린지 컵이 있다.7인제 럭비는 타 종목과 운영 방식이 확연히 다르다. 경기 시간과 각 대회 기간이 워낙 짧아서 7인제 전문 클럽이 등장할 수 없는 구조고, 그래서 기본적으로 국가대표팀이 상비군 체제로 유지된다. 한 시즌은 여러 개의 시리즈로 구성되고, 각 시리즈는 지역별 대회로 각각 1박 2일이나 2박3일간 치러진다. 각 시리즈별 성적을 모두 취합해 시즌 성적을 매기고, 꼴.. 2025. 3. 25.
몸싸움 짱 럭비 시설피치(Pitch), H자 골대가 있다.피치(Pitch)는 럭비 경기가 이루어지는 경기장을 말한다. 피치의 양쪽에는 H자 모양의 골대가 서 있다. 골대가 서 있는 선을 골라인(Goal Line)이라 하고, 골라인과 골라인의 양 끝을 잇는 선을 터치라인(Touch Line)이라고 한다. 골라인과 터치라인 사이의 직사각형 영역을 "필드 오브 플레이(Field of Play)"라 하며, 양쪽 골라인 바깥의 영역을 "인골(In-Goal) 또는 인골 영역(In-Goal Area)"이라고 한다. 그리고 이 필드 오브 플레이와 인-골 영역, 두 가지를 합쳐 플레잉 지역(Playing Area)이라고 부른다. 또 플레잉 지역(Playing Area)과 외곽의 퍼리미터 에어리어(Perimeter Area)를 합쳐 플레.. 2025. 3. 24.
럭비에 대해 아시나요? 개요럭비(Rugby)는 정규 시간 80분 안에 공을 상대방 진지에 가져가거나 공을 차서 골대를 넘김으로써 점수를 얻는 스포츠이다. 미식축구, 아이스하키 등과 마찬가지로 신체 접촉이 자유로워 굉장히 격렬하고, 잔인한 순간이 자주 연출되며, 공을 가진 선수를 태클하거나 붙잡고 넘어뜨리려는 시도가 빈번하기에 굉장히 난폭하고 과격한 스포츠 중 하나이다. 럭비의 본래 명칭은 럭비 풋볼(Rugby football)이며, 럭비 유니언과 럭비 리그의 총칭이다. 하지만 럭비 풋볼 유니언(RFU)의 엄격하고 확고한 아마추어리즘으로 인하여 1895년 럭비 풋볼(Rugby Football)은 결국 크나큰 분열을 겪게 되었고, 이로 인하여 럭비 유니언과 럭비 리그로 나뉘었다. 세계적으로는 럭비 유니언이 가장 인기가 많고 보편화.. 2025. 3. 23.
무거운 무게를 들어야 하는 역도에 대해서 경기 시설 및 용구바는 역도경기에서 사용되는 바는 국제역도연맹(IWF)기준에 부합되고, IWF의 공인을 받은 바벨만이 역도경기에 사용될 수 있다. 각 바는 바벨을 고정시키기 위한 각 2.5kg 무게의 조임 쇠를 갖추어야 한다. 또한 선수가 바를 잡는 양손의 위치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바에 옹이가 있어야 한다(단, 여자용 바의 중앙에는 옹이가 없어야 한다). IWF 공인 바 규격 남자 중량 20kg, 길이 2,200mm(±1mm), 이음쇠직경 50mm, 조임쇠 안쪽 길이 1,310(±0.5mm) 여자 중량 15kg, 길이 2,010mm(±1mm), 이음쇠직경 50mm, 조임쇠 안쪽 길이 1,310(±0.5mm) 역도 규격에 맞는 바와 원판을 사용하면 조임쇠가 없어도 원.. 2025. 3. 22.